철골공사>
1. 개요
철골은 현재 대규모의 초고층 건축물로부터 소규모의 저층 건축물에까지
광범위하게 걸쳐 사용되고 있다.
철골공사에는 공장제작과 현장조립의 2가지 공정이 있다.
철골공사를 건물의 구조면에서 분류하며 순수한 철골구조,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등의 종류가 있다.
강재의 종류에는 봉강,평강,형강,강판등이 있다.
2. 일반사항
2-1 구조용 강재의 KS규격품
규 격 |
명 칭 및 종 류 |
KSD 3503 |
일반구조용 압연강재
ss400,SS490,SS540,SS330 |
KSD 3515 |
용접구조용 압연강재
SWS400A,SWS400B,SWS400C
SWS490A,SWS490B,SWS490C,SWS490TMC
SWS520B,SWS520C,SWS570
SWS490YA,SWS490YB |
KSD 3529 |
용접구조용 내후성 열간압연강재
SMA400AW,SMA400BW,SMA400CW
SMA490AW,SMA490BW,SMA490CW
SMA400AP,SMA400BP,SMA400CP
SMA490AP,SMA490BP,SMA490CP
SMA570W,SMA570P |
KSD 3530 |
일반구조용 경량형강
SSC400 |
KSD 3558 |
일반구조용 용접 경량H형강
SWH400,SWH500L |
KSD 3566 |
일반구조용 탄소강관
SPS290,SPS400,SPS490
SPS500,SPS540 |
KSD 3568 |
일반구조용 각형강관
SPSR400,SPSR490 |
KSD 4108 |
용접구조용 원심력주강관
SOCW410-CF,SCW480-CF,SCW490-CF,SCW520-CF,SCW570-CF |
KSD 3602 |
강제강관(데크 플레이트)SDP 1.2.3 |
2-2 강재의 종류
- 형강 : ㄱ형강, ㄷ형강, I형강, H형강, Z형강, T형강, C형강
- 강판 : 얇은 강판, 두꺼운 강판, 무늬 강판.
- 기타 : 원형강, 봉강, 네모강, 강관.
2-3 각종 형강의 단면 치수
2-4 H형강의 단위 중량 (6~14M)
구분 |
H
(MM) |
B
(MM) |
t1
(MM) |
t2
(MM) |
단위중량
(KG/M) |
비 고 |
소형 |
100 |
100 |
6 |
8 |
17.2 |
|
125 |
125 |
6.5 |
9 |
23.8 |
|
150 |
75 |
5 |
7 |
14.0 |
|
150 |
100 |
6 |
9 |
21.1 |
|
150 |
150 |
7 |
10 |
31.5 |
|
200 |
100 |
5.5 |
8 |
21.3 |
|
200 |
150 |
6 |
9 |
30.6 |
|
250 |
125 |
6 |
9 |
29.6 |
|
250 |
175 |
7 |
11 |
44.1 |
|
중형 |
200 |
200 |
8 |
12 |
49.9 |
|
200 |
204 |
12 |
12 |
56.2 |
|
250 |
250 |
9 |
14 |
72.4 |
|
300 |
150 |
6.5 |
9 |
36.7 |
|
300 |
300 |
10 |
15 |
94.0 |
|
300 |
305 |
15 |
15 |
106.0 |
|
350 |
175 |
7 |
11 |
49.6 |
|
350 |
350 |
12 |
19 |
137.0 |
|
400 |
200 |
8 |
13 |
66.0 |
|
450 |
200 |
9 |
14 |
76.0 |
|
440 |
300 |
11 |
18 |
124 |
|
500 |
200 |
10 |
16 |
89.6 |
|
488 |
300 |
11 |
17 |
128.0 |
|
600 |
200 |
11 |
17 |
106.0 |
|
588 |
300 |
12 |
20 |
151.0 |
|
대형 |
400 |
400 |
13 |
21 |
172.0 |
|
700 |
300 |
13 |
24 |
185.0 |
|
800 |
300 |
14 |
26 |
210.0 |
|
2-5 ㄷ형강의 단위 중량 ( 6~10M)
구 분 |
H
(MM) |
B
(MM) |
t1
(MM) |
t2
(MM) |
단위중량
(KG/M) |
비 고 |
소형 |
75 |
40 |
5.0 |
7.0 |
6.92 |
|
중형 |
100 |
50 |
5.0 |
7.5 |
9.36 |
|
125 |
65 |
6.0 |
8.0 |
13.40 |
|
150 |
75 |
6.5 |
10.0 |
18.60 |
|
200 |
80 |
7.5 |
11.0 |
24.60 |
|
200 |
90 |
8.0 |
13.5 |
30.30 |
|
대형 |
250 |
90 |
9.0 |
13.0 |
34.60 |
|
300 |
90 |
9.0 |
13.0 |
38.10 |
|
380 |
100 |
10.5 |
16.0 |
54.50 |
|
2-6 I형강의 단위 중량
구 분 |
H
(MM) |
B
(MM) |
t1
(MM) |
t2
(MM) |
단위중량
(KG/M) |
비 고 |
일반용 |
150 |
75 |
5.5 |
9.5 |
17.10 |
|
200 |
100 |
7.5 |
10.0 |
26.00 |
|
250 |
125 |
7.5 |
10.0 |
38.30 |
|
300 |
150 |
10.0 |
18.5 |
65.50 |
|
광산용 |
100 |
80 |
9.0 |
12.5 |
8.94 |
|
130 |
100 |
12.0 |
17.0 |
12.20 |
|
레 일 |
122.24 |
122.24 |
13.49 |
|
37.20 |
|
153.00 |
127.00 |
15.00 |
|
50.40 |
|
174.00 |
145.00 |
16.50 |
|
60.80 |
|
2-7 ㄱ형강의 단위 중량
H
(MM) |
B
(MM) |
t1
(MM) |
t2
(MM) |
단위중량
(KG/M) |
비 고 |
25 |
25 |
3 |
3 |
1.12 |
|
30 |
30 |
3 |
3 |
1.36 |
|
40 |
40 |
3 |
3 |
1.83 |
|
45 |
45 |
4 |
4 |
2.74 |
|
50 |
50 |
4 |
4 |
3.06 |
|
50 |
50 |
5 |
5 |
3.77 |
|
50 |
50 |
6 |
6 |
4.43 |
|
60 |
60 |
4 |
4 |
3.68 |
|
90 |
90 |
8 |
8 |
10.80 |
|
90 |
90 |
10 |
10 |
13.30 |
|
90 |
90 |
13 |
13 |
17.00 |
|
100 |
100 |
7 |
7 |
10.70 |
|
100 |
100 |
8 |
8 |
12.80 |
|
100 |
100 |
10 |
10 |
19.75 |
|
100 |
100 |
13 |
13 |
19.10 |
|
120 |
120 |
8 |
8 |
14.70 |
|
130 |
130 |
9 |
9 |
17.90 |
|
130 |
130 |
10 |
10 |
19.75 |
|
130 |
130 |
12 |
12 |
23.40 |
|
150 |
150 |
10 |
10 |
22.90 |
|
200 |
200 |
15 |
15 |
45.30 |
|
250 |
250 |
25 |
25 |
93.70 |
|
2-8 산출순서 :
사무실 : Column → Sub column → Girder → Beam → Brace → 계단 → 기타구조
공 장 : Column → Sub column → Girder → Beam → 지붕 트러스 → Brace → 띠장(Girt)
→ 기타구조
3. 수량산출 및 단가기준
3-1 강재 (TON)
형강류→종별,단면치수별로 총 연장길이로 산출후 중량으로 환산
강판류→실제면적에 가까운 사각형,삼각형,평행사변형,사다리꼴로 면적을 산출
3-2 볼트 (EA)
규격별로 정미수량 산출
3-3 녹막이 도장 및 표면처리 (M2)
정미면적으로 산출(콘크리트에 묻히거나 접하는부분은 도장면적에서 제외)
3-4 내화피복 (M2)
건식, 반건식, 습식등 피복두께에 따라 면적으로 산출
(시방서, 관련법규등을 참조하여 필요 피복 두께별로 산출)
3-5 DECK PLATE (M2)
정미면적으로 산출
3-6 철골가공조립,SHOP DWG,철골세우기 (TON)
강재의 총 정미수량(볼트류제외)
3-7 END CLOSER (EA)
규격별 정미량 산출
3-8 CON’C STOPPER (M)
규격별 정미길이 산출
3-9 FLAT BAR (M)
규격별 정미길이 산출
3-10 보강앵글 (M)
규격별 정미길이 산출
3-11 그라우팅 (M3)
기초 앙카볼트 매설부위 산출후 정미량 산출
3-12 운반비 (ton)
강재의 총 정미수량
3-13 장비비 (ton, hr, L/S)
인양 및 현장 조립시 필요한 장비비를 계상.
|